개근 : 소정근로일에 근로자의 사정으로 출근하지 않는 것(지각/조퇴 무관)

만근 : 소정근로일에 모두 출근하는 것(지각/조퇴 유관)

 

 


근로기준법

 

제55조(휴일) 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.  <개정 2018. 3. 20.>

② 사용자는 근로자에게 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일을 유급으로 보장하여야 한다. 다만,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특정한 근로일로 대체할 수 있다.  <신설 2018. 3. 20.>

[시행일] 제55조제2항의 개정규정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날부터 시행한다.
1. 상시 30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, 「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」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, 「지방공기업법」 제49조 및 같은 법 제76조에 따른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,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정부투자기관이 자본금의 2분의 1 이상을 출자하거나 기본재산의 2분의 1 이상을 출연한 기관ㆍ단체와 그 기관ㆍ단체가 자본금의 2분의 1 이상을 출자하거나 기본재산의 2분의 1 이상을 출연한 기관ㆍ단체,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관: 2020년 1월 1일
2. 상시 30명 이상 300명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: 2021년 1월 1일
3. 상시 5인 이상 30명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: 2022년 1월 1일

 

제60조(연차 유급휴가) 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.  <개정 2012. 2. 1.>

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.  <개정 2012. 2. 1.>

③ 삭제  <2017. 11. 28.>

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.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.

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,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. 다만,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.

⑥ 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.  <개정 2012. 2. 1., 2017. 11. 28.>

1.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

2. 임신 중의 여성이 제74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로 휴업한 기간

3. 「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」 제19조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

⑦ 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휴가는 1년간(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)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. 다만,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  <개정 2020. 3. 31.>




근로기준법 시행령

제30조(휴일)   제55조제1항에 따른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주어야 한다. <개정 2018. 6. 29.>

  제55조제2항 본문에서 “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일”이란 「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」 제2조 각 호(제1호는 제외한다)에 따른 공휴일 및 같은 영 제3조에 따른 대체공휴일을 말한다. <신설 2018. 6. 29.>

[제목개정 2018. 6. 29.]


 

<근로기준과-5560, 2009.12.23> 외 다수 행정해석

개근이란
근로 제공의 의무가 있는 날(소정근로일)에 결근(근로자 임의로 근로 제공 X)이 없는 것으로
지각/조퇴가 있더라도 개근이며, 지각/조퇴 등 횟수를 이유로 결근을 처리는 법 위반임.

취업규칙 10인이상
종업원할 사업소세 월 1억3천5백 이상
노사협의회 30인 이상
장애인고용 100인이상

 

52시간 근로 개정안은 2월 28일 국회를 통과하면서

300인 이상 기업 및 공공기관은 오는 717일부터,

50인 이상 299인 이하 기업은 2020 11일부터

5인 이상 49인 이하 기업은 2021 71일부터 적용

 

퇴직연금(단, 신규사업장 기준)

2016년 300인 이상, 2017년 100∼300인, 2018년 30∼100인, 2019년 10∼30인, 2022년 10인 미만 사업장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퇴직연금 도입을 의무화

'인사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근과 만근 차이  (0) 2022.01.25
근로/일용/사업소득/기타소득 구분방법  (0) 2018.02.14
재경 참고자료  (0) 2018.02.14
연말정산 확인사항  (0) 2018.02.14
더존아이큐브 연봉인상 반영방법  (0) 2018.02.14

http://www.mindhome.co.kr/ 생각속의 집

http://www.mumuhouse.com/ 게스트 하우스 무무

http://www.boonori.com/ 메종드라메르

http://www.ilmarepension.com/ 일마레

http://dmpension.com/new/bin/main/main.php 달빛커튼 드리운 바다

http://www.attihouse.com/ 아띠하우스

http://www.villamari.co.kr/page/main.html빌라마리

http://www.pensionblue.com/ 블루마운틴

http://www.happyalps.com/ 해피알프스

http://www.lohaspension.com/index.jsp 로하스

http://www.angagil.com/ 안면도 가는길

http://www.casabellapension.com/ 까사벨라

http://www.elfpension.com/index.php 숲속의 요정

http://www.pc.minto.co.kr/ 민들레 영토

http://www.pensionmori.co.kr/index.php 모리의 숲

http://www.pensionmori.co.kr/index.php 코지하우스

http://www.november.co.kr/welcome.html 노벰버

http://www.mydanny.co.kr/welcome.html 마이대니

http://www.oakpension.com/main/index_01.html 오크포레스트

http://www.orangepk.com/ 오렌지페코

http://www.sedonapension.com/ 세도나 펜션

http://www.jajaknamoop.com/ 자작나무펜션

http://www.ehappyhouse.com/home.php 해피하우스

'여행 > 여행지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국내 인기 여행지 50(2008년)  (0) 2018.02.26
가평 가볼만한곳  (0) 2018.02.26
CNN선정, 꼭 가봐야 할 한국 여행지 50(2012년)  (0) 2018.02.26
봉평/영월 여행지  (0) 2018.02.26
봄나들이 갈만한 여행지  (0) 2018.02.26

+ Recent posts